도시가 우리의 텃밭이다.

전국의 도시농부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함께 연결되는 소통의 플랫폼이 되고자 합니다.

자세히보기

최신글

[온라인특강] 식용도시를 통해 본 도시농업의 미래! (이창우 한국도시농업연구소 소장)

[오천원의행복_식용도시특강] 누구나 수확해 가세요! Edible City!식용도시를 통해 본 도시농업의 미래! 이창우 (한국도시농업연구소 소장) 일시 : 2025. 7. 15. 19:30장소 : 온라인 줌(신청하신 분들에게 접속링크를 보내드립니다.)참가비 : 5천원참가신청 : https://forms.gle/tvCoRjLq3DnPydsw5 입금계좌 : 우체국 103556-02-526953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도시 곳곳에 시민들과 함께 텃밭을 가꾸고, 누구나 무료로 먹을 수 있게 공유하는 활동이 전세계적으로 퍼져가고 있습니다. Edible City! 일명 식용도시 운동을 통해 도시텃밭과 도시농업운동의 미래를 함께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특강으로 준비했습니다. 식용도시 10문10답 1편 https:..

공지사항 2025.06.26 0

서울식물원 어린이 정원 텃밭엔 배추꽃이 만발 -사단법인 텃밭보급소

서울식물원 [탄소먹는 거인의 텃밭 정원] 이야기사단법인 텃밭보급소 곽선미 대표 “어머~ !! 이게 배추꽃이래~!. 유채꽃인 줄 알았는데!!”“진짜!! 배추꽃도 이렇게 이쁘구나!! 정말 신기하네!!” 4월 중순부터 지금까지 한 달여 간 서울식물원 어린이 정원 텃밭을 지나는 시민들의 발걸음을 멈춰 세운 배추꽃이 이제 씨앗을 맺어가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겨울을 나고 텃밭의 주인공이 된 호밀, 밀, 보리, 갓꽃, 쪽파, 무꽃, 그리고 힘차게 잎을 올려 감자가 이제 꽃망울을 만들고 있다. 이곳은 작년부터 올해까지 두 해째 텃밭보급소에서 위탁을 맡아 [탄소먹는 거인의 텃밭 정원]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서울식물원 어린이 정원학교 앞 정원은 ‘오스카 와이들’의 동화가 모티브로 꾸며졌다. 해서 커다..

도시농부 2025.05.20 1

[온라인특강] 식용도시를 통해 본 도시농업의 미래! (이창우 한국도시농업연구소 소장)

[오천원의행복_식용도시특강] 누구나 수확해 가세요! Edible City!식용도시를 통해 본 도시농업의 미래! 이창우 (한국도시농업연구소 소장) 일시 : 2025. 7. 15. 19:30장소 : 온라인 줌(신청하신 분들에게 접속링크를 보내드립니다.)참가비 : 5천원참가신청 : https://forms.gle/tvCoRjLq3DnPydsw5 입금계좌 : 우체국 103556-02-526953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도시 곳곳에 시민들과 함께 텃밭을 가꾸고, 누구나 무료로 먹을 수 있게 공유하는 활동이 전세계적으로 퍼져가고 있습니다. Edible City! 일명 식용도시 운동을 통해 도시텃밭과 도시농업운동의 미래를 함께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특강으로 준비했습니다. 식용도시 10문10답 1편 https:..

공지사항 2025.06.26 0

서울식물원 어린이 정원 텃밭엔 배추꽃이 만발 -사단법인 텃밭보급소

서울식물원 [탄소먹는 거인의 텃밭 정원] 이야기사단법인 텃밭보급소 곽선미 대표 “어머~ !! 이게 배추꽃이래~!. 유채꽃인 줄 알았는데!!”“진짜!! 배추꽃도 이렇게 이쁘구나!! 정말 신기하네!!” 4월 중순부터 지금까지 한 달여 간 서울식물원 어린이 정원 텃밭을 지나는 시민들의 발걸음을 멈춰 세운 배추꽃이 이제 씨앗을 맺어가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겨울을 나고 텃밭의 주인공이 된 호밀, 밀, 보리, 갓꽃, 쪽파, 무꽃, 그리고 힘차게 잎을 올려 감자가 이제 꽃망울을 만들고 있다. 이곳은 작년부터 올해까지 두 해째 텃밭보급소에서 위탁을 맡아 [탄소먹는 거인의 텃밭 정원]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서울식물원 어린이 정원학교 앞 정원은 ‘오스카 와이들’의 동화가 모티브로 꾸며졌다. 해서 커다..

도시농부 2025.05.20 1

[흙으로 돌아가는 삶] 거름이야기와 연재의 마무리

거름 만드는 일은 밥 먹는 일만큼 쉬운 일이란 걸 꼭 일러주고 싶었습니다. 생각해보세요. 유기물이란 그냥 놔두어도 다 썩게 되어 있어요. 냉장고에서도 썩어 나가는 경우가 종종 있잖아요. 발효제 없어도 큰 지장 없습니다. 있으면 더 잘되는 것은 사실이지만요. 김치, 장 담글 때 발효제 넣지 않잖아요. 다만 발효와 부패의 차이점은 알 필요가 있습니다. 둘 다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은 같아요. 최종 결과물이 인간에게 해로운 결과가 생기면 부패, 이로운 결과가 생기면 발효라고도 하거나, 좀더 넓게 말하면 내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면 발효, 그렇지 않으면 부패라 할 수 있어서 둘의 차이는 종이 한장 정도라 할 수 있지요. 가령 술을 만들려고 했는데 잘못되어 식초가 생겼으면 부패로 간주하지만 관점을 달리하면 발효..

컬럼 2025.05.19 1

뉴욕의 도시채집농 붐

뉴욕의 도시채집농 붐 이창우 / 한국도시농업연구소장 트럼프가 일으킨 세계 관세 전쟁의 여파로 미국 내에서도 인플레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농산물 가격이 오르고 있다. 때 맞춰 베리와 허브, 버섯을 비롯한 각종 야생 먹거리에 대한 뉴욕시민의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틱톡과 유튜브와 같은 SNS를 통해 도시채집농에 대한 정보가 활발히 교환되고 있기도 하다. 최근 뉴욕시에 있는 크고 작은 도시공원에 다양한 야생먹거리가 풍부하게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뉴욕은 야생먹거리 천국 뉴욕시 공원에는 마가목 열매가 흔하게 눈에 띈다. 여러 공원에서 야생 우엉도 쉽게 발견된다. 맨해튼의 센트럴 파크에는 곰보버섯이 많다. 브롱크스 리버 푸드웨이(뉴욕 공원국이 지속가능한 먹거리 경관과 도시공원의 통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

컬럼 2025.05.19 0

[24절기 심화과정] 하늘의 인문학, 과학 그리고 실용 (안철환 전통농업연구소 소장)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도시농부의 5,000원의 행복찾기 프로그램][24절기 심화과정] 하늘의 인문학, 과학 그리고 실용 (안철환)시간 : 목요일 오후 7시, 온라인 줌강의대상 : 전국 관심있는 도시농부들참가비 : 15,000원 (각 강의당 5,000원)강사 : 안철환 (전통농업연구소 소장)세부강의 일정5월 22일(목) / 하늘의 인문학 / 하늘의 이해, 태양과 달, 24절기5월 29일(목) / 절기의 구조 / 절기력, 하늘의 과학적 구조6월 5일(목) / 절기의 실제 / 실용적으로 하늘 활용하기신청하기https://forms.gle/qTbtWCprgoiUU2bz9 신청설문 작성후 아래 계좌로 입금 입금계좌 : 우체국 103556-02-526953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문의 :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석지..

공지사항 2025.05.1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