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 우리의 텃밭이다.

전국의 도시농부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함께 연결되는 소통의 플랫폼이 되고자 합니다.

자세히보기

도시농부 5

토양 탄소 회복 : 도시농부를 위한 안내서

이 글은 https://regenerationinternational.org/ 블로그에서 정리된 글을 요약하여 소개하는 글입니다. (2015, Jack Kittredge)아마도 2015년 파리기후협약을 즈음해 다양한 탄소격리와 관련한 연구와 성과를 소개하기 위해 만들어진 글 인 것 같습니다. 저도 2019년 기후위기를 접하면서 도시농부와 탄소농사에 대해 검색하다가 주로 인용한 글중에 하나인데요. 글이 쓰여진 시점이 2015년이라는 점을 감안해서 탄소배출량 등 수치가 지금과는 다르다는 것만 생각하고 읽으면 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원문은 별도로 공유하며, 첨부된 모든 그림은 원문의 것을 인용한 것입니다. 그 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합니다. (편집자 주) 생태학은 토양탄소 회복에 효과가 있는가?기후 변화로 ..

도시농업정책 2024.09.04

907 기후정의행진, 도시농부참여단 모집

“기후가 아니라 세상을 바꾸자” 올 여름도 ‘역대급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매년 기록을 갱신하는 폭염과 폭우, 예측불허의 기상이변 속에서 우리 일상의 삶과 그 토대는 쉽사리 무너지고 맙니다. 그런데도 정부와 지자체는 충분한 재난 안전 대책을 세우는 대신 온갖 토건 개발 사업에 예산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민생’ 이라는 이름으로 핵산업을 지원하고 초고압송전탑을 늘리려 합니다. 대파 값이 걱정인 서민은 아랑곳없이 민간 자본에 대규모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이대로는 살 수 없습니다.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파괴하며 이윤만을 추구하는 사회경제 시스템을 바꾸지 않고서는 더 이상 공존의 삶을 말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부정의하고 불평등한 지금의 세상을 바꾸기 위한 행동에 나섭니다. 생태계 파괴와 화석연료 중..

공지사항 2024.08.26

도시농부들이 만든 도시농업정책 [도시농부 리빙랩]

공익가치를 실현하는 도시텃밭, 도시농부 리빙랩2021년 코로나 방역조치가 아직도 완전히 풀리지 않았던 그해 인천도시농업시민협의회는 공동사업으로 단체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의미있는 사업을 고민하다가 도시농부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도시농업정책 활동을 해나가기 위해 '도시농부 리빙랩'이라는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매번 비슷한 단체대표들만이 아니라 도시농업에 관심있거나 참여하고 있는 도시농부들과 함께 논의하여 만들어가는 과정을 한해동안 해오면서 결과도 만들어졌습니다. 마침 국립세종도서관에서 발행하는 "정책이 보이는 도서관"에 이 활동이 소개되어 그 내용과 함께 만들어진 자료와 영상까지 함께 소개드립니다. 지난 사업이긴 하지만 도시농업활동가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사업, 활동들을 끄집어내서 소개하는 것도 중요할 ..

활동 리뷰 2024.06.19

[농촌여성신문 기획기사] 도시농부 200만 시대... 양적 성장 다음은?

지난 주말 농촌여성신문에서 도시농업 기획기사를 냈다. 특집기사의 주제는 "도시농업 활성화, 도농상생에 길 있다"로 4개의 기획기사를 냈다. 현장도 방문 취재하고 관련자 인터뷰도 비중있게 실었다. 대략적인 기사내용과 링크를 안내해본다. “도시농업은 생활농업” 농업인·도시민에 윈-윈https://www.r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891  “도시농업은 생활농업” 농업인·도시민에 윈-윈 - 농촌여성신문취미농업서 벗어나 경제·사회·환경적 가치 5조원농식품부, 제3차 종합계획 통해 질적성장 모색장롱면허 전락 위기 ‘도시농업관리사’“농업과 가까이” 촘촘한 맞춤정책 필요도시텃밭 1043㏊www.rwn.co.kr도시농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난해 농촌진흥청에서 발표한 도시농업의..

소식 2024.05.13

기후위기, 기후농부, 기후정치, 기후유권자

2024년 새롭게 인사를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올해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이하 전국협) 총회에 새롭게 선출된 공동대표 김충기입니다. 전국협은 새로운 체계로 올해부터 운영방법을 변화하여 시작하려고 합니다. 저와 함께 김재규 대표님, 조은하 대표님 3명의 공동대표가 서로 역할을 나누고, 또 의견을 모아서 운영하는 공동대표 체계로 운영키로 했습니다. 지난 8년간 전국협을 이끌어오신 김진덕 대표님의 오랜 노고와 헌신에 감사의 마음을 다시 한번 표합니다. 초대 안철환 대표님을 포함해 두 분의 노력이 있었기에 전국의 도시농부들과 활동가들이 연결되고 도시농업운동의 방향을 잡아갈 수 있었으며, 그 성과로 민간부분의 도시농업활동이 여기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 이에 누가 되지 않도록 3명의 공동대표도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소식 20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