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 우리의 텃밭이다.

전국의 도시농부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함께 연결되는 소통의 플랫폼이 되고자 합니다.

자세히보기

컬럼 15

[이창우 컬럼] 일본의 시민녹농지 구상 2 - 다몬지 교류농원 사례와 가능성

시민녹농지 사례: 다몬지 교류농원 도쿄도 스미다구는 일본에서 가장 높은 인공구조물인 도쿄 스카이트리가 있어 유명하다. 23개 자치구 중 끝에서 두 번째로 녹지 비율이 낮고 농가나 농지가 전혀 없다. 스미다구 북부에 있는 다몬지 교류농원은 주택가에 있는 다몬지(多聞寺)라는 절이 소유한 660㎡ 공한지를 한 지역사회단체가 2017년에 무상으로 빌려 2018년에 개장했다. 다몬지 교류농원은 2022년 스미다구 최초로 시민녹지로 인정받았다. 시민주도성, 공공성, 지속성은 시민녹농지를 판단하는 요소다. 이 3가지 관점에서 다몬지 교류농원 사례를 살펴본다. ① 시민주도성다몬지 교류농원은 ‘데라지마·다마노이 마을만들기협의회’(이하‘데라다마’라 한다)가 주도해 만들었다. 데라다마는 스카이트리 건설 계획을 계기로 200..

컬럼 2024.08.06

[이창우 컬럼] 일본의 시민녹농지 구상 1 - 시민녹농지(市民綠農地)란?

이창우 / 한국도시농업연구소장  시민녹농지라는 제3의 오픈스페이스 시민녹농지? 한자로는 市民綠農地다. 시민, 녹, 농지 모두 아는 말인데 합치니 낯설다. 일본도시계획가협회 생산녹지연구회가 제안한 개념이다. 도시농지활용 지원센터가 2024년 펴낸 책 『도시의 농을 생각한다』에 처음 소개되었다. 아직 제도화되지 않았지만 수년간 수십 명이 참여해 연구한 결과물이다. 한마디로 말해 시민녹농지는 시민이 주도하여 공공성 있는 농업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도시 공간이다. 지구 차원의 환경·식량 문제, 인구 감소에 따른 빈집·공지 증가와 같은 사회문제에 하나의 해답을 제시하는 개념이 시민녹농지다. 요즈음 우리나라에서는 시민들이 농산물가격 폭등에 따라 먹거리 불안을 느끼며 농업에 관심이 많다. 탄소중립도시가 추진되면서 ..

컬럼 2024.07.11

[흙에서 나다 2] 들녘엔 갑(甲)이 살지만 숲엔 정령이 산다

들녘엔 갑(甲)이 살지만 숲엔 정령이 산다안철환(전통농업연구소 대표)  한 동안 귀농하려는 분들께 가급적 들녘보다는 숲으로 귀농하시라 했습니다. 왜냐고 물으면 농반진반으로 했던 말이지요. 인류 역사상 인간들이 꿈꾸던 유토피아는 거의 숲에 있다는 걸 뒤늦게 알았어요. 들녘의 숲이 아니라 야트막한 동산 속 숲 말이죠. 에덴동산이 그렇고 무릉도원, 샹그리라가 그렇습니다. 미국의 철학자이자 수필가로 유명한 헨리 데이빗 소로우의 월든(Walden, or Life in the Woods)이란 책에서 저자가 그리는 곳도 숲 속이고, 하다못해 웰컴투 동막골이란 영화에서 그리는 이상향 마을도 산 숲속에 있었습니다. 유토피아까지는 아니라도 속세를 떠나 인간다운 삶을 누리는 공간들 또한 거의 들녘보다는 숲 속 전원이었습니다..

컬럼 2024.07.08

[이창우 컬럼] 네덜란드에서 부는 도시농업 혁명의 바람

이창우 / 한국도시농업연구소장  모든 시민이 농부이고 모든 택지가 농지인 곳이 있다. 이곳에서는 도시와 농촌을 구분하지 않고, 시민과 농민을 가르지 않으며, 택지와 농지를 구별하지 않는다. 네덜란드 알메러(Almere) 시의 오스터볼드(Oosterwold)가 바로 그곳이다. 이글은 도시농업 혁명이라고 부를 수 있는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는 오스터볼드를 소개한다.  알메러 시는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에서 동쪽으로 30km 떨어져 있다. 면적이 248.77㎢이고 인구가 22만 명으로 꽤 큰 도시다. 1976년에 택지 개발 사업이 완료된 이후 1984년에 시로 승격되었다. 알메러 시의 동부 외곽에 오스터볼드가 있다. 면적 43.63㎢인 오스터볼드는 도시농업 특별지구라고 할 수 있다. 알메러 시는 미래 먹거..

컬럼 2024.06.14

[흙에서 나다 1] 흙에서 나서, 흙에서 살다, 흙으로 돌아가는 삶

흙에서 나서, 흙에서 살다, 흙으로 돌아가는 삶안철환(전통농업연구소 대표) 머리말24절기 책으로 하늘 얘기를 하고 먹거리 책으로 생명 얘기를 하고 나서 마지막으로 흙 얘길 하고 싶었지만 자신은 없었습니다. 토양학에는 학문적인 영역이 많았기에 짧은 지식과 일천한 경험으로는 어림도 없었지요. 그런데 욕심을 버리지는 못했습니다. 그리고 무모한 도전을 감행하기로 해서 이 글을 연재하게 되었습니다. 학문적으로 완성도는 떨어질 겁니다. 그래서 그 길은 진작 포기했습니다. 다만 학문적으로는 못하는 얘길 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경험만으로도 채우기 힘든 얘길 도전해보기로 했지요. 농사에서 흙은 근본이지요. 그렇지만 흙은 농사에서만 의미있는 것은 아닐 겁니다. 그 이상의 의미가 당연 흙에는 담겨있습니다. 농사의 의미로 바..

컬럼 2024.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