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 우리의 텃밭이다.

전국의 도시농부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함께 연결되는 소통의 플랫폼이 되고자 합니다.

자세히보기

공동체 4

2024년 전국 도시농업활동가 수련회, 함께 오길 잘했습니다.

2024년 전국 도시농업활동가 수련회, 함께 오길 잘했습니다.글 : 김성수 (사단법인 대구도시농업시민협의회 대표)* 보내주신 원고의 일부를 살짝 각색하였습니다. (편집자 주)  원본보기별로 내키지 않았었는데... [ 2024 전국위원, 임원 워크숍 안내 ] ● 일정: 2024년 8월 16(금)~17(토) 1박2일● 장소: 충청북도 괴산군 흙살림과 화양계곡● 대상: 전국위원(임원), 상근 활동가● 회비: 없음● 준비물: 세면도구, 텀블러 등(첫날 점심은 제공되지 않음)● 일정:    - 첫째날 16일(금) 괴산 흙살림과 생산 농가 탐방   - 둘째날 17(금) 화양계곡 7월 16일, 위와 같은 공지가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단체톡방에 올라왔다. 8월 15일 이후 이어지는 연휴에 혹시나 가족들과 휴가계획이 있..

소식 2024.08.21

도시농부들이 만든 도시농업정책 [도시농부 리빙랩]

공익가치를 실현하는 도시텃밭, 도시농부 리빙랩2021년 코로나 방역조치가 아직도 완전히 풀리지 않았던 그해 인천도시농업시민협의회는 공동사업으로 단체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의미있는 사업을 고민하다가 도시농부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도시농업정책 활동을 해나가기 위해 '도시농부 리빙랩'이라는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매번 비슷한 단체대표들만이 아니라 도시농업에 관심있거나 참여하고 있는 도시농부들과 함께 논의하여 만들어가는 과정을 한해동안 해오면서 결과도 만들어졌습니다. 마침 국립세종도서관에서 발행하는 "정책이 보이는 도서관"에 이 활동이 소개되어 그 내용과 함께 만들어진 자료와 영상까지 함께 소개드립니다. 지난 사업이긴 하지만 도시농업활동가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사업, 활동들을 끄집어내서 소개하는 것도 중요할 ..

활동 리뷰 2024.06.19

마을공동체들이 스스로 운영하는 강북마을텃밭

공동체를 이어가는데 지원은 못할 망정... 지난 동지대회에서 처음으로 인지한 ‘강북마을텃밭’은 운영의 위기를 호소하는 김선희 활동가의 질문으로 호기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 사정을 문서로는 이해할 수 없었기에 찾아가서 한번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일정이 빨리 마련되어 방문을 했다. 여러 과정들을 통해 마을에서 텃밭을 만들어왔던 경험 그리고 지속하기 위해 분투하는 과정을 들으며 다양한 감정을 느꼈다. 수유동 599번지 강북마을텃밭은 북한산국립공원과 접하는 천혜의 좋은 환경을 배경으로 하면서 자동차끼리 마주치면 곤란한 골목들 사이로 낮은 주택들이 모여있는 마을을 앞에 두고 있다. 마을대학으로 시작한 도시농부학교가 마을텃밭으로  강북도시농업체험장은 현재 구가 관리하는 체험장에서 단체가 사업으로 받아서 ..

도시농부 2024.06.19

도시농부, "공동체란 무엇인가?" 질문하다. 이음텃밭 글로벌가든 도시농부들

도시농부는 단절된 세대와 이웃,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잇는 공동체텃밭을 만들어간다. - 도시농부선언문 중 도시농업운동의 빼놓을 수 없는 목적 중에 하나가 바로 '공동체' 형성이 아닐까 싶습니다. 주말농장과 같이 분양만 하는 텃밭이 아니라 도시농부들이 서로 어우러져서 관계를 맺고,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것이 도시텃밭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오래전부터 이야기했습니다. 그리고 최근들어 공영텃밭에서도 공동체 형성을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인천의 이음텃밭은 '인천형 공동체 도시텃밭'사업을 통해 올해 4년차 농사를 시작했습니다. 1년차부터 텃밭참여자들의 의무자원활동을 통해 배우고 만나고 소통하는 것을 기본으로 활동을 시작했고, 2년차에 텃밭참여자들로 구성된 운영위원회가 활성화되어 다양한 자체활동을 기..

도시농부 2024.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