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 우리의 텃밭이다.

전국의 도시농부들의 소식을 공유하고 함께 연결되는 소통의 플랫폼이 되고자 합니다.

자세히보기

식용도시 2

식용도시 10문 10답 - 2부, 기후전환시대 식용도시의 의미

* 지난 호에서 식용도시 10문 10답 1부(1문~5문)를 다루었습니다. 이어서 6문~10문을 2부에서 다룹니다. 주목받는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에서 식용도시운동을 고민하는데에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편집자주) 식용도시 10문 10답 제2부(6문∼10문)이창우 / 한국도시농업연구소장 6. 토드모던 방식을 따르는 다른 도시의 모범사례가 있나요? 프랑스의 렌(Rennes)에서는 2013년에 놀라운 식용도시(Incredible Edible: IE) 텃밭이 한 교회 소유 부지에 처음 만들어졌습니다. 현재 15개소의 토드모던 방식 텃밭이 있습니다. 렌의 식용도시 운동은 공동체의식 제고와 생태교육 효과에 초점을 맞춥니다. IE 텃밭을 찾아가는 자전거 투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IE 렌은 외부 재정 지원을..

컬럼 2025.03.17

식용도시(Edible City) 10문 10답 - 1부 식용도시란?

식용도시 10문 10답 제1부(1문∼5문)이창우 / 한국도시농업연구소장 1. 식용도시란 무엇인가요? 식용도시는 공공장소에서 농작물을 키워서 누구나 마음대로 따서 먹을 수 있게 하는 도시를 말합니다. 식용도시는 영어로 Edible City, 독일어로 Die Essbare Stadt입니다. 식용곤충, 식용꽃이라 하듯이 식용도시라 부릅니다. 먹을 수 있는 도시라는 뜻이죠. 곤충이나 꽃처럼 도시를 직접 먹을 수는 없지만, 과일·채소·허브가 도시 곳곳에 심어져 있어 쉽게 접근해 무료로 수확해 먹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딱딱한 식용도시란 말 대신 ‘키우고 나누는 도시’라 써도 좋겠습니다. 키우고 나누는 인천, 키우고 나누는 광주로 쓰면 곧 그 도시가 식용도시 운동을 벌이고 있다는 뜻이 되겠지요. ..

컬럼 2025.02.18